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99)
Error: Your application tried to access @eslint/eslintrc, but it isn't declared in your dependencies; this makes the require call ambiguous and unsound. yarn > pnpm으로 바꾸게 되면서 pnpm에서 ESLint까지 적용을 했다. 1) brew install pnpm 2) pnpm install 3) pnpm run lint를 했는데 아래와 같은 에러가 계속 발생하였다. Oops! Something went wrong! :( ESLint: 8.55.0 Error: Your application tried to access @eslint/eslintrc, but it isn't declared in your dependencies; this makes the require call ambiguous and unsound. Required package: @eslint/eslintrc ~ package.json과 pnpm list로 여러 lint 버전을..
fatal: (현재 폴더 또는 상위 폴더 중 일부가) 깃 저장소가 아닙니다: .git 갑자기 상위 폴더로 어쩌다 이동이 되었는지.. 다시 클론받은 repo 이름 git:(feature/popup-refactoring) 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상위 폴더로 이동을 했는데 fatal: (현재 폴더 또는 상위 폴더 중 일부가) 깃 저장소가 아닙니다: .git 와 같은 에러가 뜨는 것이다. 그래서 구글링을 해서 git init을 해야 하나..? 싶었는데 내가 만든 프로젝트 레포지터리가 아니라서 선뜻 git init을 할 수 없었다. 알고보니, 다음과 같은 상황이었다. Desktop > 클론받은 레포지터리 이름 (.git 없음) Desktop > be > 클론받은 레포지터리 이름 (.git 있음) 이렇게 내가 이전에 2개로 클론을 받았었는데 .git이 없는 걸로 디렉터리 이동을 하고, git 명령어..
Kubernates + Docker 알아보기 ※이 글은 brandy가 개인적으로 공부하고 작성한 글이므로, 맞지 않는 내용이 있다면 피드백 부탁드리겠습니다. Kubernates를 공부하기 전에, Docker을 먼저 알아야했다. Docker은 그림과 같이 고래가 컨테이너를 싣고 있는 모습을 가진 깜찍한 아이콘을 자랑하는데, Docker은 애플리케이션을 Container로 실행하고 관리하는 오픈소스 플랫폼이다. 개발된 응용 프로그램(API 등)을 Container화해 운송하고 실행하는 것이 주 목적이다. Docker Container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 크기가 보통 MBytes여서 부팅이 빠르다. - VM같은 가상컴퓨터의 경우 부팅이 몇 분 걸리는데(OS나 커널에 의존하지 않음) 도커는 부팅이 빠르다. Docker은 Code, Bu..
hotfix 브랜치를 삭제하고 싶었는데 안되었던 문제 Live 환경에서 문제가 있는 것 같아 hotfix 브랜치를 따서 작업을 하려고 했더니, 코드 상의 문제가 아닌 db상의 문제였어서 db 테이블 내 데이터 값만 수정하였다. 그래서 hotfix 브랜치가 필요 없어서 삭제하려고 git branch -d 으로 브랜치 삭제를 하려고 했더니 브랜치 삭제가 되지 않았다. error '/PC경로/'위치에 체크아웃한 '브랜치명' 브랜치를 삭제할 수 없다는 에러가 표시되었는데, 알고보니 해당 브랜치에서 해당 브랜치를 삭제할 수 없다는 것. 맨 위 사진을 보면 현재 브랜치의 위치가 hotfix/popup_activeList인데, 현재 checkout된 브랜치가 hotfix/popup_activeList 브랜치다. 즉 이 브랜치에서 직접 hotfix/popup_active..
Kubernates 내에서의 Pod 통신 (with Service) ※ 이 글은 개인적으로 공부하기 위해 정리한 글입니다. Kubernates와 더불어 Devops는 백엔드와 프론트엔드에서 분리할 수 없는 존재이다. 이번에 새롭게 배포 파이프라인이 배포가 되면서, Kubernates 내의 새로운 Cluster들이 배포됨에 따라 그 프로세스들을 다시 한번 정리하고자 이 글을 작성하게 되었다. 프로세스를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1) aks 서버 만들기 2) 코드상에서 배포 파이프라인 파일, ingress 설정파일(.yml 파일), 여러 설정파일들을 새로운 aks 서버에 따라 설정값을 바꿔준다. 3) 새로운 cluster 배포 + 새로운 파이프라인을 구축한다. 이번에 kubectl get service를 통해 현재 띄워져있는 ClusterIP와 LoadBalance..
2023-11-30과 같이 컬럼 내에서 Date가 나오게 하려면 entity 파일에서 Column을 다음과 같이 작성해주면 된다. (in postgreSQL) @Column({ type: 'date' }) @Trnasform(transformDate) date: Date; date와 관련해서 entity에서 어떻게 정의하고, post 요청을 날릴때 계속 date는 instance여야 한다고 하는데, 여간 고민이 많다.. ㅜㅜ
error: src refspec 브랜치 이름 does not match any 로컬의 feature 브랜치를 원격으로 push 하려는데 계속 error: src refspec 브랜치 이름 does not match any과 같은 에러가 발생하였다. 나름 구글링까지 해가며 git init부터 git add -> git commit 까지 다 날려보았지만, 로컬 브랜치가 만들어짐과 git log에 커밋 메시지만 날리는 문제가 있었다. 문제 해결 방법은 다음과 같았다. IntelliJ에서 내가 로컬 브랜치를 Push 하지 않아 위와 같은 에러가 떴던 것이다. 여기서 push할 내용이 있었는데, 이걸 push 하지 않아서 해당 에러가 떴던 것이다. Push 해주니 에러 해결 완료!
json 파일 import 하는법 팀원으로부터 json 파일을 받게 되었다. api 셋팅이 그대로 되어있다는데, 이를 포스트맨에서 사용하는 방법을 정리하고자 한다. 포스트맨 좌측에 보면 import 버튼이 있다. 이걸 누르고, 다운받은 json 파일을 끌어와서 사용하면, 그 파일 안에 있는 API 리스트를 읽어와서 어떤 API를 사용할 건지 check 해주고 사용하면 된다. 이 안에 GET,POST 등 API 리스트 목록이 함께 들어있다.
CNAME이란? + DNS TXT CNAME을 frontDoor에서 DNS 등록,수정을 할 수 있다. CNAME이란 Canonical 표준이 되는 이름이라는 뜻으로, alias와 기준이 되는 이름이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DNS란 도메인 정보 한 건 한 건에 대한 이름을 나타낸다. CNAME은 하나의 DNS에 대하여 별칭 alias를 부여하는 것이다. 터미널에서 nslookup(DNS 조회 명령 커맨드) 명령어를 통해 ip 주소 등에 대해 조회할 수 있다고 한다. > CNAME으로도 해당 DNS에 CNAME이 등록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더 나아가서 프론트도어에 설정하면서 DNS의 TXT를 적는 란이 있다. DNS TXT란 text record의 줄임말로 임의의 문자열로 구성된 값이다. 텍스트를 리소스에 연결시킬 수 있는 매개체..
ReactServerComponentsError Next로 작업을 하던 중에 localhost:3000에서는 Internal Server Error가 발생하였고, 위와 같은 에러가 발생하였다. 내가 시도하려고 했던 작업은 useState() 사용을 위해 react에서 { useState }를 import 해오려고 했던 것인데 에러가 발생했다. 알고보니 use Client를 추가해주어야 했다는 것. 'use client'; import Link from 'next/link'; import * as styles from './Header.module.css'; import { } from 'react'; import React, { useState } from 'react'; use client를 상단에 추가해주니 위의 에러가 없어졌다. NextJS가 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