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3) 썸네일형 리스트형 brew로 설치한 kubectl 버전 확인을 하고 싶은데 brew로 이것저것 다시 깔다가 brew install kubectl 로 kubernates client를 설치하였다. 그런데 이게 잘 설치가 되었는지?싶어 찾아본 방법은 2가지이다. 1) brew list brew로 설치한 모든 라이브러리 리스트 확인 2) kubectl version --client 이걸 통해 Client Version: v1.32.3 / Kustomize Version: v5.5.0 라는 식으로 터미널에 출력된다. 그러니 설치가 잘 된것 확인! lsof : list open files (kill 명령어로 중복 포트 없애기) 위의 명령어를 사용해본 계기 VSCode를 사용하면서 run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던 중에 터미널에서 ERROR [NestApplication] Error: listen EADDRINUSE: address already in use :::3000 +1ms 라는 에러가 발생하였다. 이에 관한 해결방법을 찾다보니, Mac이나 Linux에서는 lsof(list open files)를 활용하여 kill의 sign을 주는 방법이 있다고 한다. lsof 시스템에 열린 파일 목록을 알려주고 사용하는 프로세스, 디바이스 정보, 파일의 종류 등 상세한 정보를 출력해주는 명령어 > Mac Terminal에서 해당 명령어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은 결과가 출력된다. (회사컴이라 열에 대한 정보들은 기재하지 않았다) Node.. lsof(list open files) -> Unix/Linux에서 돌고 있는 프로세스 정보 확인 port번호들을 확인하다가 리눅스에서 포트번호를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가 있을까?라고 찾아보던 중에 lsof 명령어를 알게되었다. sudo lsof -PiTCP -sTCP : LISTEN 실행 결과 해당 프로그램이 어떤 localhost의 주소에서 열려있는지를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다. 만약 해당 프로세스를 강제종료 시키고 싶다면 sudo lsof -9 PID번호 위와 같이 입력해 강제종료 시켜주면 된다.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