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296)
node 버전 업그레이드 node 버전을 업그레이드 해야 했는데 방황하다가 nvm을 이용해서 노드 버전을 바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었다. nvm install v20.11.1 처럼 특정 버전을 써주면 바로 업데이트가 된다. 그러고 node -v로 터미널에서 노드 버전 확인하면 v20.11.1로 바로 업데이트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디버깅하기 - 다양한 console의 종류 사실 디버깅으로 제일 유명한 것은 console.log이다. 나 또한 디버깅을 할 때 console.log를 찍거나 nestjs의 Logger인 this.logger.log를 통해 로그를 찍곤 한다. 오늘 본 노마드코더의 영상 중에서 다양한 log를 찍어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소개된 유튜브가 있는데 한 번 정리해보고자 포스팅으로 남긴다. console에도 내가 모르는 것들이 정말 많았구나를 실감했다. 1) console.count() console이 호출된 횟수를 보여준다. 이렇게 인자값을 직접 넣어 내가 원하는 것의 console count를 확인할 수 있다. 2. console.time() 작업 시간을 측정하며, 하나의 페이지에서는 최대 10,000개의 타이머를 실행할 수 있다. console.ti..
zero-length delimited identifier at or near ''" db 테이블에 id 컬럼에서 default 옵션으로 seq(시퀀스)를 설정해주는 부분이 있었는데, 계속해서 ('테이블 이름_id_seq'::regclass)를 설정하려고 하면 테이블 이름_id_seq 부분에서 빨간색으로 뜨며 인식이 되지 않으며 에러 메시지는 zero-length delimited identifier at or near ''"와 같은 에러가 뜨는 것이다. 이에 대해 알고보니, 내가 시퀀스를 만들어주지 않아서 발생하는 에러였다. 시퀀스 만드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해당 테이블의 DDL 접속 2) id 부분에서 serial 추가 id serial constraint project_activity_pk primary key, 3) 그러면 Default Expression에서 nextv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