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295)
brew로 설치한 kubectl 버전 확인을 하고 싶은데 brew로 이것저것 다시 깔다가 brew install kubectl 로 kubernates client를 설치하였다. 그런데 이게 잘 설치가 되었는지?싶어 찾아본 방법은 2가지이다.  1) brew list brew로 설치한 모든 라이브러리 리스트 확인  2) kubectl version --client 이걸 통해 Client Version: v1.32.3 / Kustomize Version: v5.5.0 라는 식으로 터미널에 출력된다.  그러니 설치가 잘 된것 확인!
다이나믹링크와 딥링크가 헷갈린다(feat. 개발자와 사업개발자에서 배울 관점) '다이나믹링크'와 '딥링크'는 웹개발&앱개발에서 자주 쓰이는 용어이다.  사건의 발달은 그렇다. 팀에서 '웹에서 다이나믹링크와 딥링크를 쓰는 부분이 혼재되어 있어 발생하는 문제들이 존재할 것으로 판단'한다는 것이었다. 아직까지 나는 다이나믹링크와 딥링크의 차이점을 모르는 상태에서 왜 이 둘을 혼재해서 사용하면 문제가 되고, 어떤 문제가 존재하는거지? 싶어 찾아보았다.  딥링크 Deep Link 사용자가 특정 앱 화면으로 '직접 이동'할 수 있도록 만드는 링크 웹에서는 보통 https://example.com/editor 등의 URL로 처리  Example DomainExample Domain This domain is for use in illustrative examples in documents. Y..
.env.local 파일 수정 후 vault? .env.local 파일에 slack url을 추가했는데 이거 그냥 commit & push하고 배포하면 되는건가?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그게 아니었다.  1) .env.local 파일 수정2) vault에 slack_url 추가 (dev,stage / prod) 3) 코드 commit & push ㄴ3)번을 먼저 하게 된다면, vault에서 값을 못읽어와서 빈 문자열로 뜰 것이다.  .env.local에 값을 처음 넣어봐서 이 부분은 오늘 처음 알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