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295)
data class 만들고 @GetMapping으로 data class 호출하기 + Postman 실행결과 + @RestController Person.kt package com.example.test_1.domain data class Person( val id:Long=1, val name:String="", val lastName: String?=null ) Test1Application.kt package com.example.test_1 import com.example.test_1.domain.Person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SpringBootApplic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runApplic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GetMapping import org...
Entity와 Table의 차이점 DB 구조를 작성하던 중에 Entity와 Table 둘 다 같은 개념 아닌가? 헷갈리기 시작했다. 그래서 Entity와 Table의 차이점에 대해 구글링을 해보던 중 둘이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Entity = 논리 모델 -> DB나 SQL상에 존재하지 않는다.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일종의 '개념' Table = 물리 모델 -> DB나 SQL에 실제로 존재한다. ※ SQL을 사용하면 RDBMS에서 데이터를 저장,수정,삭제 및 검색할 수 있다.
application.properties vs application.yml 개요 SpringBoot를 사용하다보면 application.properties를 쓸 것이냐, application.yml을 쓸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있다. 사실 두 개의 차이는 간단하다. 각 파일 형식의 구분자 application.properties의 구분자 . application.yml의 구분자 : 요즘에는 yml 방식을 좀 더 선호한다고 한다. why? 계층형 + : 으로 값을 구분하기 쉽고, 중복된 문자들을 반복해서 작성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application.properites > application.yml로 변경방법 SpringBoot는 기본적으로 application.properties가 내장되어 있는데 IntelliJ에서 application.properties 우클릭 > R..